군기훈련 사망 훈련병의 사인: 근육손상, 심비대증, 열사병 등 다양한 원인 거론
군기훈련 사망 훈련병의 사인: 근육손상, 심비대증, 열사병 등 다양한 원인 거론
군기훈련 도중 쓰러져 사망한 육군 훈련병의 사인을 둘러싸고 다양한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무리한 운동과 과도한 체온 상승으로 인한 근육손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횡문근융해증' 의심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횡문근융해증 의심 증상
28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부검 결과, 사망한 훈련병이 횡문근융해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횡문근융해증은 근육세포가 손상되어 근육 단백질이 혈류로 방출되는 질병으로, 심각한 경우 신장 손상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소식통은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하며, 사인을 단정 짓지 않았다.
심비대증 소견
사망 훈련병의 부검에서는 심장이 조금 커져 있는 심비대증 소견도 나왔다. 심비대증은 심장이 비대해지는 질환으로, 주로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갑작스러운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군기훈련과의 연관성이 조사되고 있다.
열사병 추정
질병관리청은 해당 훈련병을 올해 첫 열사병 추정 사망자로 분류했다. 질병청의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신고현황에 따르면, 훈련병이 쓰러진 23일 강원 인제의 기온은 27.4도였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군기훈련 도중 사망한 훈련병이며, 열사병 환자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추정일 뿐, 정확한 사인은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
군기훈련 중 사건 경위
사망한 훈련병은 23일 오후 5시 20분경 강원 인제의 육군부대에서 군기훈련을 받던 중 쓰러졌다. 훈련병은 민간병원으로 긴급 후송되어 치료를 받았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25일 끝내 숨졌다. 당시 훈련병은 완전군장 상태로 연병장을 구보로 돌고, 역시 완전군장 상태로 팔굽혀펴기를 지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기훈련 규정 위반
군기훈련 규정에 따르면, 완전군장 상태에서는 걷기만 가능하며, 구보 지시는 할 수 없다. 또한 팔굽혀펴기 역시 맨몸 상태에서만 지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규정 위반이 훈련병의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군 당국은 군기훈련을 지시한 중대장과 현장 감독 간부 2명에게 업무상과실치사와 직권남용 가혹행위 등의 혐의를 적용해 경찰에 수사 요청을 했다.
결론 및 향후 조사
훈련병의 사망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의 부검 결과와 관련 증거들을 바탕으로 무리한 군기훈련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향후 추가 조사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사인을 밝혀낼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규정 위반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군기훈련의 안전성을 재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